728x90

때는 2009년 6월로 거슬러 올라가본다. 당시 나는 미국유학길을 오르기위해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로가는 비행기에 몸을 맡겼다. 정말 아무것도 모르고, 미국 땅을 밟아보는 것도 인생에 처음이였고, 가족 또는 친지들 아무도 거주하는 분이 없었다. 하지만 그래도 내 인생에 가장 크나 큰 도전장을 내밀었던 순간이였다. 정말 '모'가됬던 '도'가됬던 열정적인 도전으로인해 아름다운 성공을 낳기위해서는 먼저 도전이라도 해보는게 맞지않겠는가. 아무것도 도전을 하지않는 사람에겐 기회조차도 주어지지 않는다. 오로지 나는 국내뿐만이아니라 세계적으로 넓게 보기위해 자가결정을 한 부분도있다.

출처: ⓒCopyright, Unsplash. SAN FRANCISCO INTERNATIONAL AIRPORT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그렇게 약 12시간에 걸쳐 결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 도착한 나는 공항에 발도장을 찍음으로써 많은 다짐을 가슴 속 깊이 남겼다. 적어도 미국 헐리우드에 왔으면 어렸을적 목표를 이루기위함 아닌가. 참고로 나의 어렸을적 꿈은 세계적으로 유명 게임회사 <Blizzard Entertainment>, <ILM>에서 일해보는 것이였기때문이다. 그러한 마음을 가진채 무거운 수하물을 챙겨 공항 밖으로 빠져나가 VAN을 타고 다운타운으로 향하였다. 내가 생활하게 될 곳은 바로 여기였다.

출처: ⓒCopyright, Google Map

정말 푸른하늘에 햇빛이 쨍하니 내려쬐였다. 오로지 한국사회, 한국문화, 한국에서만 살아온 나는 미국이라는 땅에 딱 하고 도착했을때 이 곳에서는 한국말도 안통하고 결국 살아남기위해 혼자 영어를 마스터해야지 안그러면 굶어죽겠구나라고 생각이 들었을 뿐만이아니라, 자립심과 굳은의지가 마치 나무가 뿌리치며 솟아오르듯 커나아갔다. 사실상 나는 출국 전에는 알게모르게 겁이 안날수가 없었다. 이유는 딱 하나다. 가족, 친구들이 모두 떨어져있는 지구 정 반대편에있는 미국이라는 대륙 이라는 그 자체였다. 솔직히 가장 걱정이많이되었던 부분이 생활하기위해 먼저 가장 필요한 것은 미국에서 은행방문하여 업무처리하는 것이였다. 도대체 은행업무볼때 경제용어들을 어떻게 영어로 풀어나아가야하지? 쉽지않아서 학교 선배를따라 향한 은행이있었다. 바로 그 곳은 <Bank of America>라는 은행이였다.   

출처:ⓒCopyright, Unsplash

결국 답은 하나라고 생각하였다. 따로 공부해봐야 아무필요없고, 한국에서 영어공부하던식으로 단어백날외워보고 해봐야 실제로 그 단어만가지고 조리를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선배들을 따라다니며 옆에서 보고 듣고 하였는데 처음에는 너무신기하였다. 한국에서 미국대학을 입학하기위해 언어능력시험을 보고 점수가 잘나오고 이게 왠말인가. 결국 현실은 현실 그자체였다. 한국에서 멋져보이는 단어 또는 어려운 단어를 사용한다고 한국인들은 "우와~"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미국인들은 그러하지않다. 그냥 간단하고 쉬운단어를 사용한다. 그러한 부분이 언어능력을 옥죄어 구사능력이 외국인들에 비해 무뎌지는 부분은 확실히 맞는것같다. 한국인들은 독해와 문법은 정말 잘하지만, 말은 쉽사리 늘진않는이유가 있다. 외국인들에 비해 오로지 책을 보고 공부해야 공부라고 생각하고 놀면 논다고 생각하기때문이다. 게다가 문화적 차이때문도 있다고 생각한다. 주변에서 보는 시선, 즉 말하다가 실수하면 나의 이미지를 생각하는 것이다. 그런 부분을 나도 다 무시한채 오로지 삶의 방법을 달리하였다.

이렇게 첫 단추를 잘 끼고 점점 삶의 안정을 찾아가며 미국에서의 삶에 적응해나아가기 시작하였다. 1달, 2달, 3달... 참 모든 장면들이 한국에서 경험해보지못한 부분이다보니 많은 것을 배우고 경험하는 순간들이였다. 이렇게 몇 달간에 걸친 미국에서의 정착기는 짧게 마무리해본다.

728x90

[4편 후속글]

는 2015년, 나는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Academy of Art University(아카데미예술대학)에서 4년간 학업을 모두 마친 후 컴퓨터그래픽 산업에서 열심히 취업준비를 하던 무렵, 나는 어느날 드디어 헐리우드에 위치한 CoSA VFX Studio에서 CG General Artist으로 첫 오퍼(Offer Letter)를 받게되었고 졸업식과 동시에 바로 운전해서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로 8시간에 걸쳐 도착을 하였다.(*샌프란시스코 TO 로스엔젤레스: 평균 7-9시간 소요/운전)

학창시절 당시, 샌프란시스코와 모교가 약간 지루한 기분도 들고 새로운 곳에 몸을 담게되었으니 빨리 내려가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고싶은 마음이 꽤나컸다. 졸업당일 나는 밤 10시에 출발하여 새벽 6시에 도착을 할 정도였으니, 꽤나 마음이 들떴나보다. 프로젝트에대해서 소개 및 설명하기전에 나의 흔적을 아래 고스란히 잠깐 남겨본다.


렇게하여 다른 프로젝트를 하면서 동시에 3편의 미드의 몇 파트를 3D 그래픽팀에서 동료들과 함께 담당하게되었다. 이유는 딱 하나였다. 영화같은 경우는 개봉일이 정해져있다. 하지만 드라마는 그게 아니다. 매주 시즌 몇회 몇회 이런식으로 방영을 해야하나보니, 나와 동료들은 스케줄을 함께 같이 맞출 수 밖에없었다. 배우들을 놓고 촬영에 몰입하는 감독입장에서도 순수 촬영만으로 멋진 결과물이 만들어 지는 것이아니다보니 우리와 함께 일정을 맞춰야 했다. 그렇게 하여 정말 모든에너지를 다 끌어모아 프로젝트에 몰입할 수 있었고, 그렇게 작업에 같이 임했던 3개의 프로젝트를 소개해본다. (작업과정은 당시 바쁜스케줄로 따로 준비할 수가 없었다.)


▶마이너리티 리포트(Minority Report)

▶더 라스트 쉽(The Last Ship)

▶씨에스아이(CSI :CYBER)

출처:ⓒCopyright, Google Image

'마이너리티 리포트(Minority Report)'에서 배경, 건물 등 이러한 소재를 3D제작하는데 임무수행.


출처:ⓒCopyright, Google Image

'더 라스트쉽(The Last Ship)'에서 초대형 군함을 3D로 제작.


출처:ⓒCopyright, Google Image

'CSI 씨에스아이 (CSI, CYBER)'에서 배경을 3D로 제작.


렇게 빡빡한 스케줄에있어 그래도 여러가지 프로젝트에 함께 몸담글 수 있었던 이유는 서로간의 조화로운 협조도와, 논리적인 기획력 등등 이러한 모든 부분들이 합쳐져 멋진 결과물을 함께 만들어 낼 수 있었던 것 같았다. 해외에서 많고 많은 값진 경험들이 비로소 지금의 나의 모습을 만들어 준 것 같았고, 향후 먼 미래까지 생각하고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거머쥐게 해주었다.


Used Software Programs for this project:

Autodesk Maya

Pixology Zbrush

Adobe Photoshop

Substance Painter

Substance Designer

The Foundry Nuke

The Foundry Mari

728x90

한국으로 귀국 후 잠시나마 좋은기회인만큼 나는 TV광고 CF프로젝트를 맡게되었다. CF프로젝트는 화장품 광고였다. 캣매코니라는 브랜드가 본래는 영국 브랜드이다. 그런데 그 시점쯤 한국으로 들어온 상황인지라 화장품 CF를 처음 제작하는 상황이였던 것이다. 그래서 모델은 배우 옹성우씨로 정하였고 그에맞춰서 CF를 3D그래픽으로 제작을 하였다. 그 곳에서 나는 3D Artist로 화장품상품을 3D로 제작하는 업무를 맡게되었다. 아래 상품에이어 어떤방식으로 작업을 하였는지 간단히 스크린샷 몇장을 간추려 포스팅해본다. 미국에서 대형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때와 달리 한국에서의 본 프로젝트는 그냥 단순하게 작업이 진행되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TV를 통해 보게되는 광고는 그냥 실사적으로만 100%만들어지는 것이아니다. 현실적인건 모두 컴퓨터그래픽처리로 3D와 합성을 통하여 이루어지게되는데, 그 과정에서 한 부분을 본 캣매코니제품을 3D로 작업하여 만들어 렌더링(Rendering)까지 걸어본 작업이미지를 한 번 고스란히 남겨본다. 물론 컴퓨터그래픽이기에 실사적인 느낌은 당연히 덜할 수도있지만, 실제 제품을 보는부분과는 또 느낌이 다를 수가있다. 


*캣마코니 화장품 3D 최종작업물

상단 실제 캣매코니 제품을 제공받은 이유는 3D로 작업하기위해 견본으로 받았던 제품이다. 샘플이다보니 내부에 완벽하게 구성되어있는 제품은 아니지만, 그래도 최대한 비주얼적으로 보기에 아름답게보이기위해 재질과 3D모델링을 연구를 나름 많이하였다. 예를들면 조명을 켰을때 빛이 어떻게 타고들어와 제품에 맺혔을때 부드러운 느낌을 낼 수 있을까하는 부분이다. 광고는 대부분 비주얼이 99%이기때문에 최대한 아름답고 보기좋게 만들어야하는 이유도있다. 

출처: Google.


까만콩의 갤러리


TVCF광고에서 본 상품이 날라오는 상황을 결과물을 추출하기전에 여러 컷 뽑은 장면이다. (3D작업참여) 먼저 합성을 하기위하여 배경에 조명과 색상을 깔아놓았다. 본 이미지는 제품이 앞쪽으로 날라오는 장면을 연출하기위해 렌더링을 걸어놓았던 과정인데 그 중에 일부만 캡처본으로 남겨보았다. 


TVCF광고에서 본 상품이 날라오는 상황을 결과물을 추출하기전에 배경과 합성하기 위해 먼저 알파맵(Alpha Map)을 여러 컷 뽑은 장면이다. (3D작업참여) 이 부분에서 이러한 과정이 들어가는 이유는 하나이다. 제품 이외에 아무것도 합성과정에있어서 잡히면 안되기때문에 깔끔하게 알파값만 조율하는 과정이다. 


TVCF광고에서 본 상품이 날라오는 상황을 결과물을 추출하기전에 배경과 합성하기 위해 먼저 알파맵(Alpha Map)에 재질, 색감을 입힌 오브젝트 씬을 여러 컷 뽑은 장면이다. (3D작업참여) 알파값을 정리한 결과물에 3D오브젝트를 위와같이 올려서 연결시키는 과정이다. 


TVCF광고에서 본 상품이 등장하기때문에 상품을 3D모델링 및 그래픽을 맡았다.(3D작업참여) 이렇게 하루만에 간단하게 제품을 3D로 구현하여 위에 쭉 정리해본 과정까지 이어나아갈 수 있었다. 


TVCF광고의 최종결과물을 만들기위해 여러가지 맵(방식)을 사용하여 만들어 낸 장면을 디자인해보았다.


TVCF광고의 최종결과물을 확인할때 한 장면을 뽑아보았다.


렇게하여 CF광고 프로젝트는 막이내리고, 작업에 참여하면서 참으로 많은 것을 깨달았던 그 순간이였다. 그냥 단지 TV로만 광고를 접해왔고 그냥 별것 아닌 것 처럼 생각을 해왔지만, 이렇게 작업을 하고보니 정말 간단한 것 한 가지고 귀하고 소중하게 생각이 들 수 있었다. 이렇게 경험을 통하여 얻고 깨달았던 것도 많았지만 이로하여금 향후 더 밝은 미래를 위해 더 힘차게 나아갈 하나의 발판이 새겨진 것 같았다.


Used Software Programs for this project:

Autodesk Maya

Foundry Nuke

Adobe Photoshop

Substance Painter

Substance Designer

728x90

는 2015년, 나는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Academy of Art University(아카데미예술대학)에서 4년간 학업을 모두 마친 후 컴퓨터그래픽 산업에서 열심히 취업준비를 하던 무렵, 나는 어느날 드디어 헐리우드에 위치한 CoSA VFX Studio에서 CG General Artist으로 첫 오퍼(Offer Letter)를 받게되었고 졸업식과 동시에 바로 운전해서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로 8시간에 걸쳐 도착을 하였다.(*샌프란시스코 TO 로스엔젤레스: 평균 7-9시간 소요/운전)

학창시절 당시, 샌프란시스코와 모교가 약간 지루한 기분도 들고 새로운 곳에 몸을 담게되었으니 빨리 내려가서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고싶은 마음이 꽤나컸다. 졸업당일 나는 밤 10시에 출발하여 새벽 6시에 도착을 할 정도였으니, 꽤나 마음이 들떴나보다. 프로젝트에대해서 소개 및 설명하기전에 나의 흔적을 아래 고스란히 잠깐 남겨본다.


출처: Google Map.

로부터 몇일 후 드디어 첫 출근을 하였고 팀 동료들과 첫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번 대형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살짝쿵다양하고 많은 프로젝트에 참여를 하였지만, 사실 이번기회를 살포시 제안받게되었고 그것은 바로 '11.22.63'(*상단이미지참고)이라는 미국드라마 시리즈이다. 여기서 미국국민이 아니라면 저 의미를 잘 모를 수도있다. 그 타이틀 안에는 깊은 의미가 들어있기때문이다. 그럼 간단히 미국역사적인 부분이기도하지만, 살짝쿵 소개를해보겠다.


*11.22.63: 미국은 날짜표기를 한국과 달리 거꾸로한다. '월,일,년도' 이렇게 말이다. 그래서 다시 나열해보면 1963년 11월 23일을 뜻한다. 그날이 대체 무슨날이길래 그런가 하고 궁금할 수도있다. 일단 아래 인물을 먼저 봐야할 필요가있다.

출처: Wikipedia Encyclopedia 좌: John F. Kennedy/ 우: Lee Harvey Oswald

인물은 바로 미국 제 35대 대통령 '존에프케네디 (John F. Kennedy) 대통령이다. 그의 일생은 1917년 5월 29일~ 1963년 11월 22일까지 짧은 인생을 살았다. 여기서 무언가 보이지않는가? 1963년 11월 22일 바로 그것은 11.22.63 제목과 같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정말 그의 인생을 짧고도 파란만장했고 결국 리 하비 오스월드에의해 비극적으로 일생을 마무리했다.


래 이미지는 존에프케네디(John F. Kennedy)의 생을 마감하기 전 마지막 행렬사진이다.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의 전개:

미국의 어느 한 매개체에 따르면 1963년 11월 22일 미국의 존에프 케네디 대통령이 리 하비 오스월드의 총에 맞아 암살당한 사건으로 알려진다. 1963년 11월 22일에 미국 케네디 대통령은 포드 자동차 회사에서 만든 링컨 컨티넨탈 차를 타고 텍사스 주 댈러스 시내에서 퍼레이드를 하고 있었다. 오후 12시 30분 딜리 플라자를 지나던 케네디 대통령의 차량에 보관창고 건물 6층에서 리 하비 오스월드가 총 3발을 쐈다. 그가 쏜 총알은 케네디 대통령의 목을 관통하였고 결국 목을 잡고 고통을 호소하다 부인 재클린 케네디가 보는 앞에서 머리에 총을 맞고 사망했다. 그리고 텍사스 주지사 존 코널리에게도 부상을 입혔다. 11월 23일 새벽 1시 30분에 케네디 암살범으로 공식 기소되었다. 하지만 오스월드는 결국 11월 24일 아침에 텍사스 경찰서 지하에서 잭 루비라는 나이트클럽 경영자의 총에 맞아 암살되었다고 전해진다.

 

래 이미지는 미국 댈러스 주 도서관 6층에서 존에프케네디(John F. Kennedy)가 암살당한 장소이다. 지금 현재는 관람장소로 알려져 많은사람들의 발길을 이끌고있는 장소 중 하나이다. 조금 더 확실한 이해를 돕기위해 아래 실제 건물이미지를 넣어보았다.

 

출처: Google Map.


출처: Google Map.

장소를 촬영장소로 사용하였으며 표본으로 컴퓨터그래픽 작업이 들어가 합성할 수 있었고, 본 작품은 2016년 2월 '대통령의 날'공식 런칭되어 Hulu에서 상영될 수 있었다. 당시 많은 사람들은 본 작품상영에 엄청난 기대를하고있었고, 특히, 미국 댈러스(Dallas)주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더구나 이번 기회를 통해 더 많은 역사와 그의 일생을 한걸음 더 나아가 알고싶어했다.

인적으로 이러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었다는게 너무나 크나 큰 축복이였고 감사했다. 정말 그 당시 내가 위치해있던 그 자리를 수 많은 별들로 반짝거리는 장면처럼 빛내고싶어 더욱 더 몰입을 하였고 본격적으로 3D작업에 들어갔다.


11.22.63' 인트로(Intro)

 

작품의 인트로영상을 링크통하여 볼 수있다. 이 중에 메인으로 작업했던 장면은 아래 따로 정리해두었다. 작품런칭에이어 그토록 시간들여 제작된 작품아래 크레딧, 나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어 무엇보다도 뿌듯함이 더 크게 느껴졌다. 리스트 중에 나는 CG Team이였고 나의 수퍼바이저(Supervisor)는 Paul Ghezzo였다. 나의 단짝동료 Dan Kruse 외 동료들은 현재 어디서 어떻게지내는지 가끔생각은 든다.

 


11.22.63' 인트로(Intro)

본 작품의 전반적인 내용은 위 링크를 통하여 확인을 할 수 있다. 다른 웹 매거진을 통하여 크레딧이 올라갔다. 정말 감사한 그 순간이였다.


이렇게 크레딧에이어 공식 런칭된 본 작품은 Hulu를 통하여 시청할 수 있었다.

조금 더 자세한 정보와 작품의 내용을 확인 할 수 있게 홈페이지를 링크를 걸어놓았다.

래 이미지는 가장 상단에서 소개했듯이 졸업 후 가장 먼저 작품에 참여할 수 있게 오퍼를 내준 회사이다. 잠깐 회사로부터 오퍼를 받은 내용이있어 소개해보려한다. 본 사 홈페이지와 위치 오퍼내용을 포스팅해보았다. 본 작품이외에도 다양하고 많은 작품을 확인해볼 수있다. 이렇게 과거의 추억들이 새록새록 올라오는 요즘이다.


니버셜스튜디오(Universal Studios)에서 조금 더 넘어가면 헐리우드지역 안에 위치해있다. 보통 통근시간 차로 50분정도 걸려 출퇴근을 하였는데, 결코 가벼운 거리는 아니였다. 미국자체가 땅덩어리가 너무 컸기에, 그냥 그려려니 생각을 해야만하는 구조였다. 퇴근길에 잘못나서면 러시아워(Rush Hour) 시간대랑 겹치게 되는데 한 번 막히면 30분은 더 불어났던것 같다.

*러시아워(Rush Hour): 출.퇴근 시간대, 복잡한 시간대를 말한다.

아래는 회사로부터 면접제의가 왔었던 내용이다. 당일 날 나는 준비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가서 졸업시기, 작품에 사용했던 프로그램 및 과정, 작업소요시간 등 슈퍼바이저(Supervisor), 디렉터(Director)와 이야기를 나눌수 있었다.


국 나는 입사확정통보를 받게되었고, 미국내에서 합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카드를 졸업하자마자 신청을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이민국으로부터 조금 지연됨에따라 날짜조정을하고 바로 프로젝트에 참여를 할 수 있게 된것이다. 아무튼 행복했다. 당일 출근 후 계약서를 작성하고 본격적으로 팀에 합류할 수있었던 부분이 내게 정말 컸던 것 같다.


까만콩의 갤러리

시 본 작품으로 돌아와 메인으로 맡게 된 장면(Scene)을 소개해보려한다.

장면에서 나오는 건물은 미국에서 유명한 레스토랑'DINER'라는 건물이다. 건물 통째로 Autodesk Maya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D로 제작을 하였다. 제작 후 배경과 합성하여 들어간 장면이다.

에프케네디(John F. Kennedy)가 탑승했던 자동차를 미니에이쳐(Miniature)사이즈 3D로 파트를 담당했다.

살장소인 지역이다 도로, 잔디밭, 나무 등 배경을 담당하였다.

로와 풀, 나무, 자동차, 사람미니어쳐, 도서관건물을 3D 작업하였다.

에프케네디(John F. Kennedy)가 저격당한 건물을 전체적으로 3D로 제작/담당하였다.

격하였던 장소, 소총 제작.

총제작에이어 권총 제작.

업들어갔던 장소를 전체적으로 담아보았다.

 

래는 프로젝트 종료 후, 세금정산할때 필요한 서류를 전달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담아보았다.



렇게 유명 프로젝트를 참여하여 끝까지 잘 맺음 할 수 있었다. 다른 동료들과 같은 프로젝트에 임하는 동안 서로간의 소통방식, 문화적경험 등 다양한 경험을 하여 나름 내공을 쌓을 수 있었고, 당시 모두에게 정말 감사하고도 뿌듯했던 그 순간이였다.


Used Software Programs for this project:

Autodesk Maya

Pixology Zbrush

Adobe Photoshop

Substance Painter

Substance Designer

The Foundry Nuke

The Foundry Mari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