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요즘 많은 플랫폼 출현으로인해 GIF움짤컷을 만들 일들이 많이 생겨나고있다. 예를들면 온라인쇼핑몰을 꾸미시는 웹디자이너분들 혹은 비주얼자료를 만드시는 분들이라면 특정상품 소개를위해 GIF움짤 컷을 만드실일이 빈번하게 생기고있다. (※영상은 지루하고 용량이크기때문에 요즘에는 GIF움짤 컷이 대세인듯하다.) 저 또한 웹디자이너로 실무바탕으로 자주 사용하고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드리려고한다. (초보자분들도 쉽게 만드실 수 있다.) 

 

GIF는 실제로 웹시장에서 정말 많이 사용되고있는 영역으로써 일반적으로 동영상을 써야할 부분에서 대체가 쉽게가능하다. 동영상을 업로드하는게 사실상 쉽지만은 않았다. 동영상 작업하는것도 일단 전반적으로 시간도 많이 걸릴뿐더러, 오랫동안 보고있어야하기에 가독성도 떨어질 수 밖에없었다. 뿐만아니라 업로드하는데있어 가장 큰 단점이 아무래도 용량적인 부분이다. 용량이 GIF보다 크기때문에 버벅거리거나 업로드중에 에러가 날 확률이 상당히 높았다. 그래서 요즘에는 웹시장에서 대부분 GIF로 대체하는 이유이다. 움직임이있는 간단영상물로써 다양한부분을 보여줄 수 있기때문에 가독성도 좋을뿐만아니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매개체이기도하다. 그래서 아래 가장 최적화되어있는 EZGIF라는 플랫폼을 소개해드리려한다. 



우선 먼저 네이버 검색창에 ezgif 라는 검색어를 타이핑하시고 검색을 누르시면 위와같은 이미지로 나온다. Animated GIF editor and GIF maker를 누른다. ezgif를 풀이해보면 easy gif: GIF를 쉽게 만들기 이런 뜻에서 온 것 같다. 그럼 일단 진행해보도록 하겠다. 

다음으로는 Select Image에서 GIF로 만드실 파일들을 첨부해주시되 단, 파일형식은 위와같이 GIF/ JPG/ PNG/ APNG/ HEIC/ MNG/ FLIF/ AVIF/ WEBP로 만드실수 있고 각각 파일 사이즈 6MB, 전체 100MB까지 첨부하실 수 있다.


위와 같이 저는 제가 이전에 3D그래픽작업 했던 이미지를 샘플로 2가지 첨부해았다. 그리고 여기서 Delay Time은 얼만큼 빨리 뒤바뀌는지 표현해보는 것이다. 저는 40정도로 놨더니 아래와같이 이정도 속도로 계속해서 이미지가 바뀌었다. 체크하고 GIF만들기 누르시면서 계속해서 체크가 가능하니 확인해보시면서 만드실 수 있었다. 정답은 없으니, 각 프로젝트에 맞게 수치를 지정하시고 뽑아보시면 될것같다.


참고로 저는 2개의 샘플파일의 크기를 그냥 안맞추고 샘플로 어떻게 GIF를 만드는지 보여드리기위해 첨부한 것이오니 편집이 필요하신 분들께서는 GIF제작 이전에 아래와 같이 다양한 도구를 이용하셔서 제작하실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 만드시고나서는 가장 우측에 Save버튼을 누르시면 자동으로 만들어진 GIF파일이 저장이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다.

728x90


출처: ⓒCopyright, Google image

국에서 CG아티스트(CG Artist)로 일을 할 무렵, 나는 Magnopus Inc. 소속으로써 우주항공우주국(N.A.S.A)와 함께 일을 한적이있었다. 그 당시, 사실 조금 놀랄법도 한 순간이였다. 어렸을때부터 물론 여러가지 꿈을 꾸곤하지만, 내가 N.A.S.A와 함께 무언가를 한다는 것 자체가 사실 잘 와닿지도 않았고 실감이 잘 안났다. 사실 나는 이전에 다른 프로젝트를 하고있었는데 당시 나의 상사 슈퍼바이저(Supervisor)가 요것좀 도와달라고 조심스레 도움요청을하여, 나는 바로 임하게 되었던 것이다.

대체 이 프로젝트가 어떤건지 먼저 나는 궁금했다. 그래서 프로젝트 시작 전 가만히 설명을 듣고보니, 미국 실리콘벨리에 있는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구글(Google) 등 이러한 초대형기업체의 소셜네트워크에 가상현실(Virtual Reality)로 제작한 프로그램을 단순화시켜서 넣는다는 것이다. 그렇게되면, 각 소셜네트워크 안에서는 그 프로그램을 실행시켰을때 오큘러스를 착용하고 가상현실로 보았을때 내가 화면 속 우주로 들어가 지구를 돌려볼 수 있는 것이다. 마치 예전에 많이 사용하던 구글어스(Google Earth)프로그램과 동일하지만, 조금 더 현실성있는지 그 차이이다.


출처: ⓒCopyright, Google Earth.

구글어스(Google Earth)줌 확대 및 지구를 돌리면서 탐색할 수 있는 입체적인 프로그램이다. 이미 IT쪽 관련 종사자들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마 경험을 해보았을 것이다. 일반적인 용도 뿐만아니라, 다양한 목적과 용도로 기업체 또는 개인적으로 사용할 일이 빈번할 것이고 아주 유용한 프로그램이다.


 

출처: ⓒCopyright, Google image

출처: Google Web.


렇게 나는 대형 프로젝트에 몸을 담글 수 있었고 시간을 들여 이 작업을 하고나면 이제 여러군데 소셜네트워크에 유저들이 사용해볼 수 있다는 상상감에 뭔가 더 뿌듯하고 자부심이 생겼다. 그렇게하여 아래 내가 작업했던 장면을 갤러리에 고스란히 담아보았다. 아래 '까만콩의 갤러리'에서 더 많고 다양한 작품들을 감상할 수있다.

 

까만콩의 갤러리

출처: ⓒCopyright, Google image

MISSION: ISS라는 프로젝트를 참여해본 기분은 정말 남달랐다. 그냥 일반적으로 겉으로만 보기에는 별 실감도없었고 아 이런거구나 하고 그냥 말터인데, 너무나 우주에 관련하여 새로운 사실과 정보를 많이 알게되었던 것이 정말 나에게 컸던 것 같았다. 정말 뿌듯함 그자체였고 사실 모두에게 너무 감사할따름이였다.


출처: ⓒCopyright, Google image

MISSION: ISS프로젝트 안에서 위성(Satellite)를 3D로 작업했다. 물론 외관 뿐만아니라, 내관복도까지 작업을 하였는데 지금까지 나는 영화에서 나오는 위성은 겉으로만 볼때 대단해보이고 우아하다고 생각을했었다. 하지만 그게 전부가아니였다. 내부 통로와 시스템 및 구조까지 알게되니 정말 신기할뿐이였다.


 

MISSION: ISS N.A.S.A, Oculus, Magnopus.

MISSION: ISS에서 등장하는 위성(Satellite)의 작업당시 화면이다. 3D작업 후 겉에 텍스쳐(Texture)가 입혀진다.


MISSION: ISS N.A.S.A, Oculus, Magnopus.

MISSION: ISS에 등장하는 위성(Satellite)의 일부이다. 우주인이 매달려 붕 떠있는 장면이다. 지구를 관측하고 점검하기위해 위성에서 열심히 우주복을 입고 작업중인 장면이다.


MISSION: ISS N.A.S.A, Oculus, Magnopus.

MISSION: ISS에서 대표적으로 소셜네트워크에 올라갔던 첫 번째 작품이다. 지구를 제작함에있어 우주선까지 작업하며 카메라를 중간에 맞춰놓는 작업을 하였다. 여기서 바라볼 때에 지구는 어떠한 모습을 갖추고있는지. 참고로 동그라미 유리창은 윗면이아니고 아래바닥이다. 우주에는 중력(Gravity)이 없기때문에 방향도 약간 다르게 설계되었나싶었다.


MISSION: ISS N.A.S.A, Oculus, Magnopus.
MISSION: ISS N.A.S.A, Oculus, Magnopus.

MISSION: ISS에서 대표적으로 소셜네트워크에 올라간 두 번째 작품이다. 드디어 완성된 상태에 완성된 모든 오브젝트를 유니티(Unity)라는 엔진에 넣어서 렌더링(Rendering)을 돌린화면이다.



Used Software Programs for this project:

Autodesk Maya

Unity

Adobe Photoshop

Substance Painter

Substance Designer

Used Maps.

Diffuse Map: 8K*72pcs (Earth)

Normal Map: 8K*72pcs (Earth)

Specular Map: 8K*72pcs (Earth)

+ Recent posts